테리 마스터

계기

제 첫 마스터 캐릭터는 고우키였습니다. 모던으로 캐릭터도 약 10개 넘게 플레이했고 골드, 플레, 다이아 정도들을 찍어봤고 모던 고우키가 안 좋다는 이야기는 계속해서 들었지만 이에 대해 크게 불만 갖지 않았습니다. 마스터에 도착해서 1300 ~ 1400 점을 헤메기 시작하기 전까지요.

이 게임의 모던은 분명 클래식에 비해 강한 강점이 있고, 그것은 클래식으로 플레이하는 사람과 비교해서 다른 문법으로 게임을 이길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를 불쾌하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쉽게는 모던 상대로는 좋은 대공기가 있을 경우 점프를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느껴질 정도로 부담스럽고, 번아웃이 되더라도 임팩트로 스턴을 노리기 힘든 것이 가장 기본적입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면 모던은 원래는 최상위 유저들이나 할 법한 어려운 리액션을 비교적 낮은 티어에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얻은 어마어마한 반응 속도를 통해 사용하고 게임을 리드하는 플레이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상대의 캔슬 러시를 무적기로 끊는다거나, 돌진기를 승룡으로 끊는다거나, 장풍을 무적기로 뚫는 등의 이야기입니다.

모던이 가지는 강점은 여기에 더해 소위 의식의 분배라고 하는 부분에 있습니다. 모던을 플레이하는 유저들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툴의 갯수가 적고 발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반응을 하기 위해서 해당 플레이를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해놓는 의식의 분배를 적게 해도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제가 모던을 할 때는 사실 상대의 점프를 크게 의식하고 쳐본적이 없습니다. 떴네?하고 눌러도 충분히 반응이 되니까요. 물론 엄청난 훈련 또는 재능으로 인한 반응이 있다면 클래식에서도 가능하지만 보통 클래식을 플레이하는 유저는 내가 이런 상황에 진입했을 때 상대가 어느 경로로 움직일 경우 대공으로 반응해야지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어야 비슷한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모던에서 클래식으로 전환을 하게 된 것은 우선 모던이란 조작법이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개성을 다 살리지 못하기 때문에 모던 플레이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된 상위 단계에 가서 느껴지는 한계가 명확했단 점입니다. 모던은 캐릭터를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모든 캐릭터의 조작법이 동일하고 스킬과 기본기의 갯수도 동일하게 맞춰주는 편입니다. 그렇기에 특히 고우키와 같은 캐릭터는 모던으로 플레이하면 툴은 다 짤렸는데도 체력은 1000이나 깎여있는 모던계의 최약 캐릭터로 손꼽힙니다. 게다가 이번에 고우키의 밥줄로 불렸던 약용권 -> 앉강발에서 이어지는 안전 점프 셋업이 사라지면서 이에 대한 파훼법을 별도로 찾지 못한 저는 캐릭터를 변경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모던으로는 플레이할 수 있는 캐릭터의 종류가 한정적입니다. 물론 본인이 마스터 이상의 플레이를 목표하지 않는다면 문제되지 않습니다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모던으로는 플레이할만한 캐릭터의 수가 한정적인 편입니다. 모던은 데미지가 약해졌기 때문에 그만큼 기회를 더 많이 잡아야하는데, 현실적으로 모던이 클래식보다 더 많은 기회를 잡는 것이 쉽지도 않은 것이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본기들이 부재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캐미의 서약발, 고우키의 앉중손과 중단 등 수도 없이 많은 툴이 빠지고 모던이 기회를 더 많이 잡을 수 있다는 전제도 적용되지 않는다 싶은 시점에서 모던에 맞는 캐릭터가 아니라 제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하고 싶었습니다.

적응을 위한 새로운 출발

적응을 시작하기 위해서 한 것은 우선 캐릭터, 그리고 컨트롤러를 바꾸는 일입니다. 동일한 캐릭터를 플레이하면 우선 티어가 너무 높고 원래대로면 이길만한 상대에게 진다는 것에 불쾌함을 느낄 것이라 생각했고, 동일한 컨트롤러(패드)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습관대로 조작하려 할텐데 가장 중요한 버튼 두개의 위치가 뒤바뀌어있거나(임팩트, 패리) 없는(잡기) 경우들이 존재해 헷갈리는 상황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아예 새로운 캐릭터와 새로운 조작법으로 출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캐릭터는 저는 기본적으로 스탠다드 캐릭터를 좋아하는 편이고 비교적 류가 쉽고 강(한게 아니라 요즘엔 사기가 아닌가 싶은)하기 때문에 선택했습니다. 컨트롤러는 알리에서 비교적 싼 힛박(레버리스)을 구매했습니다.

첫 힛박

레버와 힛박 중에 힛박을 선택한 것은 저는 레버로 게임을 플레이해본 적이 얼마 없기도 하고, 아무래도 튀어나온 부분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을까한 것이 컸습니다. 또 레버리스를 사용할 경우에 각종 버튼의 조합으로 일반적인 것과 다른 방식으로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는 노하우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었습니다.

예전에 다이아3에 배치받았던 류를 클래식으로 처음 플레이하면서 플레까지 강등당했다가 다이아5까지 다시 올라오는 과정은 굉장히 재밌었습니다. 쓸 줄 아는 콤보라고는 가장 간단한 강승룡, sa3 콤보, 셋업도 강승룡 이후 셋업과 벽 상황에서 연잡 상황 밖에 없지만 그래도 게임을 한 짬바가 있는지 꾸역꾸역 하다보면 다이아 5에 도달은 했습니다. 하지만 도저히 극복되지 않는 결점이 아무리 해도 대공이 나가질 않고 여기 점수대의 친구들과 비교해 심리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느껴지는데 대공을 못쳐서 이길 방법이 안보인다는 데에 강한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이 때부터 단순히 될때까지 수련하는 것을 떠나서 환경을 개선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지에 대해서 고민했고 다음의 방법을 적용하게 됐습니다.


2025-11-19
카테고리로 돌아가기 ↩